본문 바로가기
주식정보

글로본 주가와 화장품사의 동향

by 유후후훅 2024. 1. 3.
반응형

이 글에서는 글로본 주가 전망과 목표 주가, 기업 정보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주식 시장에서 중요한 것은 미래의 기업 가치를 예측하고 선제적으로 움직이는 것입니다. 투자할 종목을 고르기 전에 현재 기업의 현황과 데이터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글로본 주식의 주요 현황과 투자 정보를 확인하시고 주식 투자에 도움을 줄 자료들을 모아 두었으니 투자 결정에 도움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글로본 기업 개요

http://www.globon.co.kr/

 

글로본 GLOBON

수소·플랜트, 신재생 에너지 사업, 유통 및 투자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

globon.co.kr

글로본는 개인생활용품 기업입니다. 대표자는 한상호 이며 설립일은 1986/12/20, 주식 상장일은 1992/06/04입니다. 전체 종업원 수는 26명 이고 본사 주소는 서울시 강남구 도산대로 331 (신사동)입니다.

 

최근 뉴스

https://www.yakup.com/news/index.html?mode=view&cat=12&nid=289027

반응형
 

[약업신문]화장품사 1~3분기 평균 타사품 유통매출 279억, 전년비 15.0%↑

약업신문 자매지 화장품신문에서 화장품 관련 기업 69개사(코스피 13개, 코스닥 48개, 코넥스 1개, 기타외감 7개)의 경영실적을 분석한 결과 이들 기업의 2023년 1~3분기 누적 타사품 유통매출(연결

www.yakup.com

https://www.cbci.co.kr/news/articleView.html?idxno=455304

 

[브랜드평판] 화장품 상장기업 2023년 12월 빅데이터 1위 아모레퍼시픽, 2위 LG생활건강, 3위 한국

[김현진 기자] 한국기업평판연구소가 화장품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2023년 12월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1위 아모레퍼시픽 2위 LG생활건강 3위 한국콜마 순으로 분석됐다고 전했다.한국기업평판연

www.cbci.co.kr

효율적인 투자를 위해 빠른 정보 획득을 위해 항상 최신 뉴스를 점검해보세요.

 

글로본 주가 분석

글로본 현재 주가는 986원이며 전일 대비 -2.28%의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글로본의 주주현황을 살펴보면 한상호 주주가 전체 지분 12.87%를 소유하고 있습니다. 글로본는 개인생활용품 기업으로 시가 총액은 343억 원이며 발행 주식수는 34,790,746주 입니다. 외국인 보유 비중은 0.00% 이며 장중 거래량은 100,724를 기록했습니다. 매출액은 165억 원을 달성했습니다. EPS는 -186원이며 BPS는 353원 입니다.

 

대주주 구성 정보가 필요 없을 수도 있는 단기적인 투자를 고려한다면, 장기적인 투자를 고려 중이라면 대주주 구성과 대표 정보를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글로본 주식 결론

<영업손실 지속>

 

-동사는 주요사업으로 기초화장품, 마스크팩, 화장품 용기(튜브) 등을 제조·판매하는 화장품사업을 영위함. 중국시장에 한류의 핵심을 담은 K-뷰티 제품인 'RUE KWAVE'(류 케이웨이브)를 런칭하였으며, 한류를 선호하는 중국, 동남아시아, 중동지역의 여성 고객을 타게팅하고 있음. 신재생에너지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2021년 그린사이언스를 인수하였으나, 인수 후 매출이 급락하여 2022년 2월 주식매도청구권을 행사하여 매각하였음.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4.3% 증가, 영업손실은 17.7% 증가, 당기순손실은 2.5% 증가. 수소플랜트 상품 매출이 추가되며 매출은 증가하였으나 인건비 등 판관비가 크게 증가하며 영업이익 적자 폭은 확대되었음. 수주는 P/O에 의한 단납기로 진행되고 있으며 고객의 판매계획에 따라 수시로 납품하는 형태로 이에 따라 수주잔고는 의미가 없음.

 

주식시장에서 세 가지 매수 세력은 외국인, 기관 및 개인입니다. 가장 큰 매수 주체는 실제로 개인 투자자입니다. 개인 투자자가 큰 매수 주체임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투자 방식이 맞지 않기 때문에 주식 시장에서 약한 세력이 됩니다. 집중된 투자 전략이 없어서 기관 투자자나 외국인 투자자를 이길 수 없었던 것입니다.

 

그 때문에 개인 투자자는 기관이나 외국인 세력을 따르며, 약한 세력 속에서도 어떤 것을 매수하고 매도해 이익을 냅니다. 최근의 트렌드는 외국인 매수보다 기관 투자자를 따르는 것이 많은데, 이는 외국인의 매수가 허수일 가능성이 있고 개인의 단기 거래가 기관과 유사하기 때문입니다.

 

외국인과 기관이 같이 매수하는 종목에 투자하는 것이 이상적인 전략이며, 이는 해당 종목이 매력적임을 시사합니다. 기업체의 상황을 살피고 시장에서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은 주식의 전망을 분석하는데 필수이며, 기관과 외국인의 매수 추세를 조사하면 수익률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