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샌즈랩 주가 전망과 목표 주가, 기업 정보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주식 거래에서 중요한 부분은 현재 기업 가치보다는 미래의 기업 가치를 예측하고 먼저 행동하는 것입니다. 투자할 종목을 고르기 전에 현재 기업의 상황과 지표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샌즈랩 주식의 주요 현황과 투자 정보를 확인하시고 주식 투자에 유용한 정보들을 한 곳에 정리해두었으니 투자 전에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샌즈랩 기업 개요
샌즈랩
AI, 빅데이터 기반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 전문 업체입니다. 가장 먼저 찾아내고, 가장 마지막까지 추적하겠습니다.
www.sandslab.io
샌즈랩는 일반 소프트웨어 기업입니다. 대표자는 김기홍 이며 설립일은 2004/11/01, 주식 상장일은 2023/02/15입니다. 전체 종업원 수는 44명 이고 본사 주소는 경기도 과천시 과천대로7나길 25 (주)케이사인 사옥 입니다.
최근 뉴스
샌즈랩, GPT 스토어에 CTI 서비스 입점 - 데이터넷 (datanet.co.kr)
샌즈랩, GPT 스토어에 CTI 서비스 입점 - 데이터넷
[데이터넷] 샌즈랩(대표 김기홍)이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CTI) 서비스 ‘CTX’가 오픈AI GPT스토어 ‘GPTs’에 입점, ‘GPT 용 CTX(CTX for GPT)’로 판매하고 있다고 17일 밝혔다. CTX는 악성코드 자동 분
www.datanet.co.kr
샌즈랩 컨소시엄, KISA 사이버보안 AI 데이터셋 구축 사업 완료 (boannews.com)
샌즈랩 컨소시엄, KISA 사이버보안 AI 데이터셋 구축 사업 완료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 전문 기업 샌즈랩(대표이사 김기홍) 컨소시엄이 지난 2023년 6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 발주한 ‘사이버보안 AI 데이터셋 최신화 및 고도화 사업’을 완료했다고 15
www.boannews.com
빠른 정보 습득을 위해 항상 최신 뉴스를 점검하고 투자 결정에 신중하게 고려하세요.
샌즈랩 주가 분석
샌즈랩 현재 주가는 8,780원이며 전일 대비 +8.53%의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샌즈랩의 주주현황을 살펴보면 케이사인 주주가 전체 지분 63.20%를 소유하고 있습니다. 샌즈랩는 일반 소프트웨어 기업으로 샌즈랩의 시가 총액은 1325억 원이며 발행 주식수는 15,095,238주 입니다. 외국인 보유 비중은 0.58% 이며 장중 거래량은 194,889를 기록했습니다. 매출액은 29억 원을 달성했습니다.
만약 단기적인 투자를 고려 중이라면 대주주 구성 정보는 필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장기적인 투자 계획이라면 대주주 구성과 대표의 정보를 숙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샌즈랩 가치 분석
기업 가치 평가를 위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지만, 그 중에서도 기술 지표를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샌즈랩는 전체 기술주 2,070개 기업 중 659위 등급인 상위 27.44%입니다. 대표 섹터 평가 164개 기업 중 45위 등급인 상위 27.44%입니다. 대표 테마 평가 31개 기업 중에서는 10위를 차지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투자 매력도를 평가해보면 전체 기술주 상위 30.34%, 대표 섹터 상위 27.44%, 대표 테마 13위의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동종분야 기업들의 평균적인 기술력 대비 주가에 비하여 현재 동사의 기술력 대비 주가는 저평가되어 있습니다.
샌즈랩 주식 결론
<비용 증가로 수익성 악화>
-동사는 2004년 11월 "세인트시큐리티"로 설립되었으며, 2021년 7월 1일 "샌즈랩"으로 사명을 변경함. 다양한 채널로부터 수집한 악성코드 등의 사이버 위협 정보를 인공지능, 빅데이터를 활용한 자체 분석 기술로 자동 분석하고 인텔리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사업을 영위함. 자체적으로 개발한 malwares.com 이라는 플랫폼을 통해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를 국내외 다양한 산업군에 정보 제공함.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9.6% 감소, 영업손실은 192.7% 증가, 당기순손실은 143% 증가. 동사의 주요 매출은 CTI 제품 및 서비스의 공급에 따른 수수료로 발생함. 제품 업그레이드로 비용이 증가함. 주요 고객은 정보 보안 구축이 필요한 공공기관 및 민간기업 또는 주요 IT 보안 기업이며, 주로 연간 계약 및 단기 프로젝트에 의한 계약이 주를 이루고 있음.
주식시장에서는 외국인, 기관 및 개인 등 세 가지 주요 매수 세력이 활동합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매수 비중이 큰 주체는 개인 투자자입니다. 각각의 투자 방식이 맞지 않아 개인 투자자는 큰 매수 주체임과 동시에 주식에서 가장 약한 세력입니다. 집중되지 않은 투자 전략으로는 기관 투자자나 외국인 투자자에게 이길 수 없었던 것입니다.
그러므로 개인 투자자는 기관이나 외국인 세력을 따라 움직이고, 세력의 약점을 이용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최근의 경향은 외국인보다 기관 투자자의 움직임을 따르는 경우가 많아진 것이며, 외국인의 매수는 종종 허수이고 개인의 단기 거래는 기관과 비슷합니다.
두 큰 매수주체, 외국인과 기관이 같이 매수하는 종목을 찾아 투자하는 것이 최상의 전략이며, 이것은 그 종목이 가치가 있다는 뜻입니다. 주식 전망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 기업의 현황과 시장에서의 위치, 그리고 기관과 외국인의 매수 추세를 분석하면 수익의 확률을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주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익시스템 주가와 XR기기 성장기에 따른 기대감 (0) | 2024.01.23 |
---|---|
네패스아크 주가와 갤럭시 S24의 강세 따른 긍정적인 영향 (1) | 2024.01.23 |
와이엠텍 주가와 해외판매 부진에 따른 영업이익 감소 (0) | 2024.01.22 |
대덕전자 주가와 올해 성장을 전망하는 이유 (0) | 2024.01.22 |
경동제약 주가와 자사주 처분 규모 (0) | 2024.01.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