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정보

씨티씨바이오 주가와 실적 경쟁과 전망에 대한 분석

by 유후후훅 2023. 11. 14.
반응형

이 글에서는 씨티씨바이오 주가 전망과 목표 주가, 기업 정보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주식 투자의 핵심은 현재의 기업 가치보다는 미래의 가치를 예측하며 먼저 대응하는 것입니다. 투자 대상을 결정하기 위해 먼저 현재 기업 상태와 수치를 검토해야 합니다. 씨티씨바이오 주식의 주요 현황과 투자 정보를 확인하시고 주식 투자에 도움이 될 만한 정보들을 모아놓았으니 투자 전에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씨티씨바이오 기업 개요

씨티씨바이오는 제약 기업입니다. 대표자는 이민구 (단독대표) 이며 설립일은 1995/12/28, 주식 상장일은 2002/02/21입니다. 전체 종업원 수는 238명 이고 본사 주소는 경기도 화성시 동탄첨단산업1로 27 금강펜테리움IX타워 A동 901호입니다.

 

최근 뉴스
씨티씨바이오, 건강기능식품 부문 '2023 혁신기술대상' 수상 - 머니투데이 (mt.co.kr)

 

씨티씨바이오, 건강기능식품 부문 '2023 혁신기술대상' 수상 - 머니투데이

혁신기술대상세계적 수준의 유산균 제조기술을 보유한 ㈜씨티씨바이오가 '2023 혁신기술대상' 건강기능식품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혁신기술대상은 차별화된 기술·제품·경영 등으로 시장을 선

news.mt.co.kr

투자 결정에 유의하기 위해 항상 최신 뉴스를 점검하고 신속한 정보 습득을 추천합니다.

 

씨티씨바이오 주가 분석

씨티씨바이오는 제약 기업으로 주가는 8,540원이며 전일 대비 +250원의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씨티씨바이오의 주주현황을 살펴보면 파마리서치(외 1인)이 지분 18.32%를 소유하고 있습니다. 씨티씨바이오의 시가 총액은 2065억 원이며 발행 주식수는 24,181,020주 입니다. 외국인 보유 비중은 3.72% 이며 장중 거래량은 131,909를 기록했습니다. 매출액은 715억 원, 영업이익은 117억 원을 달성했습니다. 동일업종 PER은 97.78배였으며, 동일업종 등락률은 +0.86%였습니다.

만약 단기적인 투자를 선택한다면 주주 구성 정보는 크게 중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장기적인 투자 계획이라면 주주 구성과 대표의 정보를 숙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씨티씨바이오 가치 분석

기업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 기술 지표를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씨티씨바이오는 전체 기술주 2,050개 기업 중 497위 등급인 상위 12.82%입니다. 대표 섹터 평가 156개 기업 중 20위 등급인 상위 12.82%입니다. 대표 테마 평가 21개 기업 중에서는 4위를 차지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투자 매력도를 평가해보면 전체 기술주 상위 36.63%, 대표 섹터 상위 17.95%, 대표 테마 10위의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동종분야 기업들의 평균적인 기술력 대비 주가에 비하여 현재 동사의 기술력 대비 주가는 저평가되어 있습니다.

 

씨티씨바이오 주식 결론

<영업이익 감소 및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1996년 설립된 동물약품, 인체약품, 사료첨가제 및 단미보조사료, 건강기능성식품 제조, 판매업체로 2002년 2월에 코스닥증권시장에 상장함. 동사는 미생물발효기술, 약물코팅기술, 약물전달기술등 다양한 핵심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을 접목한 제품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음. 동사의 매출구성은 인체약품군 약 55.03%, 동물약품군 약 44.97%로 구성되어 있음.

 

-2023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1.5% 감소, 영업이익은 98.7% 감소,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동사의 2분기 실적은 "사료첨가제 '씨티씨자임(CTCZYME)' 판매량이 고르게 성장해 실적에 기여 한 것으로 보임. 전년도 호실적에 따른 기저효과로 전년 동기 대비 실적은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었으나, '씨티씨자임' 대규모 글로벌 공급 계약 등 하반기 실적 개선의 요인은 충분한 상황으로 보여짐.

 

주식 시장에서 세 가지 주요한 매수 세력은 외국인, 기관 및 개인입니다. 이 중에서도 개인 투자자가 가장 많은 매수를 합니다. 주식의 큰 매수 주체인 개인 투자자는 투자 방식의 불일치로 가장 약한 세력이 됩니다. 투자 전략의 집중이 없었기 때문에 기관 투자자나 외국인 투자자에게 이길 수 없었던 것입니다.

 

이 때문에 개인 투자자는 기관이나 외국인 세력을 따라가고, 세력이 약한 상태에서도 어떤 걸 매수하고 매도해 수익을 얻습니다. 최근에 외국인보다 기관 투자자를 따르는 경향이 더 큰데, 외국인의 매수가 종종 불확실하고 개인의 단기 거래가 기관과 유사하기 때문입니다.

 

외국인과 기관이 모두 매수하는 종목을 선택하는 것은 가장 바람직한 상황이며, 이는 그 종목이 가치 있음을 의미합니다. 기업체 상황의 조사와 시장 흐름에서의 위치 파악, 그리고 기관과 외국인의 매수 추세 분석은 주식 전망의 정확한 분석을 위해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수익률을 올릴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