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정보

유니온 주가 전망 및 시장 흐름 분석

by 유후후훅 2023. 4. 20.
반응형

유니온 기업 개요

유니온는 건축소재 기업입니다. 대표자는 이건영, 이우선 이며 설립일은 1952/12/06, 주식 상장일은 1996/07/03입니다. 전체 종업원 수는236명 이고 본사 주소는 서울시 중구 소공로 94 (OCI빌딩 13층)입니다.

반응형

유니온 주가 분석

유니온 현재 주가는 7,580원이며 전일 대비 +470원의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유니온의 주주현황을 살펴보면 이건영(외 5인)이 지분 40.17%를 소유하고 있습니다. 유니온는 건축소재 기업으로 장중 기준으로 주가는 7,580원 입니다. 유니온의 시가 총액은 1183억 원이며 발행 주식수는 15,611,619주 입니다. 외국인 소진율은 0.76% 이며 장중 거래량은 1,623,526를 기록했습니다. 매출액은 2,350억 원, 영업이익은 52억 원을 달성했습니다. 유니온 주식 배당수익률은 1.23% 입니다.

 

만약 단기 투자를 진행한다면 주주현황 정보는 필요 없겠지만 긴 관점으로 기업의 가치를 알아보고 분석할 때는 앞으로의 비전과 능력을 보는 것도 필요합니다. 대주주들을 직접 만나볼 수는 없지만 어떤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지는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유니온 가치 분석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 기술지표를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드립니다. 유니온는 전체 기술주 1,994개 기업 중 865위 등급인 하위 43.00%입니다. 대표 섹터 평가 100개 기업 중 57위 등급인 하위 43.00%입니다. 대표 테마 평가 14개 기업 중에서는 7위를 차지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투자 매력도를 평가해보면 전체 기술주 상위 36.71%, 대표 섹터 상위 41.00%, 대표 테마 3위의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동종분야 기업들의 평균적인 기술력 대비 주가에 비하여 현재 동사의 기술력 대비 주가는 저평가되어 있습니다.

유니온 주식 결론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동사는 1964년 국내 유일의 백시멘트 생산을 시작한 이래 1982년 청주공장으로 확장 이전하였으며, 이후 연산 18만톤 규모의 백시멘트 및 용융알루미나를 생산. 항공장에서는 내화물 원재료인 알루미나시멘트와 각종 특수시멘트를 생산하며 국내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확고히 함. 또한 수질오염 방지를 위한 탈수기등 환경오염방지 설비와 터널시공용 시멘트인 급결제를 생산.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 증가, 영업이익은 49% 감소,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우선 대형 수요업체에 초점을 맞추어 수주, 생산, 판매활동을 해야 하며 고객 요청사항인 ISO/TS 인증과 각 지역 전문가를 육성하여 고객 요구사항을 면밀히 파악하는 노력중. 세라믹 사업부문 중 절삭공구는 각 대리점 및 해외지사를 통해 국내 및 유럽/미국의자동차/항공/철강회사들에 납품하고 있음.

 

우리나라 주식에서 매수 주체 3가지는 외국인과 기관 그리고 개인입니다. 3개 주체 중에 가장 많은 매수주체는 바로 개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개인 투자 주체는 규모가 큰 매수 주체자임과 동시에 주식을 이야기할 때 가장 약한 집단인 이유는 개인마다 투자 성향이 똑같지 않기 때문입니다. 간략하게 이야기해서 집중된 투자가 없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기관투자자나 외국인 투자자에게 이기기가 어려운 것입니다.

 

그렇기에 개인 매수 주체는 외국인이나 기관의 투자를 따라가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힘이 없는 개인 세력들은 이들이 무엇을 매수하고 매도하는지 확인하고 수익을 낼 수 있습니다. 지금 시장에서는 외국인 세력보다는 기관 투자를 따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외국인 매수는 속임수가 많고 개인이 선호하는 단기 거래는 기관과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가장 좋은 경우는 외국인과 기관 모두 매수하는 쌍끌이 주식 종목을 살펴보는 것입니다. 기관과 외국인이 같이 매수한다는 것은 좋은 종목이라는 뜻입니다. 주식의 흐름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기업체 상태를 분석하고 시장에서 어떤 상태인지 찾아봐야 합니다. 거기에 기관과 외국인 매수 흐름을 확인한다면 투자 성공 확률을 올릴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