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정보

이지바이오 주가와 이지바이오그룹의 구조

by 유후후훅 2023. 12. 25.
반응형

이 글에서는 이지바이오 주가 전망과 목표 주가, 기업 정보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주식 거래에서 중요한 점은 미래 기업 가치를 예상하며 선제적으로 움직이는 것입니다. 투자할 종목을 고르기 전에 현재 기업 상황과 지표를 살펴야 합니다. 이지바이오 주식의 주요 현황과 투자 정보를 확인하시고 주식 투자에 도움이 되는 정보들을 모아 제공하니 투자에 도움을 받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이지바이오 기업 개요

http://www.easybio.co.kr/

 

NEW STANDARD OF THE FOOD VALUE CHAIN

대한민국 농·축산업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는 가치창조 기업입니다.

www.easybio.co.kr

이지바이오는 식료품 기업입니다. 대표자는 황일환, 김재원(각자대표) 이며 설립일은 2020/05/01, 주식 상장일은 2020/06/05입니다. 전체 종업원 수는 146명 이고 본사 주소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 310 (역삼동 837-11) 유니온센터 3층입니다.

 

최근 뉴스

https://dealsite.co.kr/articles/113819

반응형
 

[핀셋+] [이지바이오] 사료 '원툴' 오명 씻나 - 딜사이트

실력 발휘하는 M&A 매물들…수익 포트폴리오 다변화 효과

dealsite.co.kr:443

 

투자 결정에 신속한 정보 습득이 필요하므로 항상 최신 뉴스를 점검하시길 바랍니다.

 

이지바이오 주가 분석

이지바이오 현재 주가는 3,550원이며 전일 대비 +0.57%의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지바이오의 주주현황을 살펴보면 이지홀딩스 주주가 전체 지분 49.46%를 소유하고 있습니다. 이지바이오는 식료품 기업으로 시가 총액은 1214억 원이며 발행 주식수는 34,191,720주 입니다. 외국인 보유 비중은 1.50% 이며 장중 거래량은 33,877을 기록했습니다. 매출액은 1,228억 원을 달성했습니다. EPS는 380원이며 이지바이오 주식 배당수익률은 2.11% 입니다.

대주주 상황 정보는 단기 투자에는 중요하지 않을 수 있지만, 장기적인 투자를 고려하고 있다면 대주주 상황과 대표의 정보를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이지바이오 가치 분석

기업 가치 평가를 위한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에서 기술 지표를 이용한 방법을 소개합니다. 이지바이오는 전체 기술주 2,068개 기업 중 1,451위 등급인 하위 45.71%입니다. 대표 섹터 평가 70개 기업 중 38위 등급인 하위 45.71%입니다. 대표 테마 평가 10개 기업 중에서는 3위를 차지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투자 매력도를 평가해보면 전체 기술주 하위 33.27%, 대표 섹터 상위 41.43%, 대표 테마 3위의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동종분야 기업들의 평균적인 기술력 대비 주가에 비하여 현재 동사의 기술력 대비 주가는 적정합니다.

 

이지바이오 주식 결론

<가치창출을 위한 핵심연구>

 

-동사는 동물용 약품,배합사료, 기능성 식품의 제품 제조,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사업을 하고 있으며 2020년 5월 1일을 분할기일로 하여 6월 5일 코스닥 시장에 재상장함. 현재 사료첨가제 부문에서 동사는 항생제 대체체로 사용되는 미생물제, 추출제를 주요 제품으로 생산하고 있음. 동사의 주요 제품이라고 할 수 있는 원가 절감형 첨가제인 효소제는 2022년 기준 1.71조의 사장규모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됨.

 

-2023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8% 증가, 영업이익은 23.7% 증가, 당기순이익은 63.1% 증가. 주요 연구분야는 고부가가치의 신물질 탐색 및 탐색기술의 개발, 생물공학기법에 의한 대량생산기술개발, 체내 생리활성 펩타이드를 이용한 고기능성 식품첨가물, 기초의약품 원료 등임. 동사는 산학연 공동연구체계를 적극 확대할 계획이며 국내 주요 대학과 프로젝트별 공동연구망을 구축하고 있음.

주식시장에서는 외국인, 기관 및 개인 세 가지 유형의 매수 세력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은 매수를 하는 주체는 개인 투자자입니다. 개인 투자자는 주식을 사는 큰 주체이지만, 각자의 투자 전략이 일치하지 않아 제일 약한 세력입니다. 간결하게 표현하자면, 투자 전략이 집중되지 않았기 때문에 기관투자자나 외국인 투자자를 이길 수 없었습니다.

 

따라서 개인 투자자는 기관이나 외국인 세력을 따르며, 세력이 약해도 투자를 통해 이익을 얻는 것이 가능합니다. 최근에는 기관 투자자를 따르는 추세가 더 강해지고 있으며, 외국인의 매수가 불확실하고 개인의 단기 거래 패턴이 기관과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외국인과 기관이 동시에 매수하는 종목에 투자하는 것은 최선의 선택이며, 이것은 그만큼 좋은 종목임을 나타냅니다. 주식의 전망을 분석하는데 있어 기업체 상태와 시장 흐름의 위치 파악이 중요하며, 기관과 외국인의 매수 추세까지 고려하면 수익률을 올리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