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정보

티웨이홀딩스 주가 전망 분석과 기업체 상세 정보

by 유후후훅 2023. 4. 21.
반응형

티웨이홀딩스 기업 개요

티웨이홀딩스는 건축자재 기업입니다. 대표자는 황정현 이며 설립일은 1945/10/10, 주식 상장일은 1977/06/30입니다. 전체 종업원 수는15명 이고 본사 주소는 서울시 성동구 아차산로 153, 7층 (성수동 2가, 예림출판문화센터)입니다.

 

최근 뉴스

티웨이홀딩스, 송인석·조원희 사외이사 재선임

[주가동향] 티웨이홀딩스 15% '↑'... 코로나 '엔데...

티웨이홀딩스, 31일 정기 주주총회 소집

티웨이홀딩스 주가 분석

티웨이홀딩스 현재 주가는 709원이며 전일 대비 +7원의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티웨이홀딩스의 주주현황을 살펴보면 예림당(외 3인)이 지분 47.81%를 소유하고 있습니다. 티웨이홀딩스는 건축자재 기업으로 장중 기준으로 주가는 702원 입니다. 티웨이홀딩스의 시가 총액은 793억 원이며 발행 주식수는 109,472,167주 입니다. 외국인소진율은 1.21%이고, 매출액은 115억 원, 영업이익은 2억 원을 달성했습니다.

 

만약 짧은 기간 투자한다면 주주현황 정보는 필요 없겠지만 긴 관점에서 기업 가치부터 알아보고 분석할 때는 대주주들의 현황과 능력을 보는 것도 필요합니다. 대주주들을 직접 만나볼 수는 없지만 어떤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지는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티웨이홀딩스 가치 분석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 기술지표를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드립니다. 티웨이홀딩스는 전체 기술주 1,994개 기업 중 1,905위 등급인 하위 4.00%입니다. 대표 섹터 평가 100개 기업 중 96위 등급인 하위 4.00%입니다. 대표 테마 평가 2개 기업 중에서는 2위를 차지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투자 매력도를 평가해보면 전체 기술주 하위 11.43%, 대표 섹터 하위 7.00%, 대표 테마 1위의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동종분야 기업들의 평균적인 기술력 대비 주가에 비하여 현재 동사의 기술력 대비 주가는 고평가되어 있습니다.

반응형

티웨이홀딩스 주식 결론

<티웨이항공 연결대상에서 제외>

 

-동사는 1945년 10월 태화고무공업사로 설립되어 1977년 6월 유가증권 시장에 상장되었으며  2013년 종속회사인 ㈜티웨이항공을 인수한 후 현재까지 사업을 영위 중. 자체사업으로 콘트리트 말뚝인 PHC파일을 제조, 유통하고 있음. 22년 4월 연결대상 종속회사였던 ㈜티웨이항공, ㈜티웨이에어서비스가 ㈜티웨이항공의 유상증자에 따른 지분율 하락으로 연결대상에서 제외되었음.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7.1%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2022년 4월 27일자 ㈜티웨이항공은 1200억원의 유상증자를 실시. ㈜티웨이항공에 대한 동사의 지분율은 40.92%에서 31.4%로 하락함에 따라 연결대상 종속기업에서 제외. 부동산 시장 과열로 정부에서 강도 높은 부동산 억제정책을 유지하고 있고, 정부SOC 예산도 소폭 증가에 그쳐 건설 경기 둔화 영향이 불가피함.

 

주식에서 세가지 매수 세력은 개인 투자자와 외국인과 기관 투자로 나뉩니다. 여기서 제일 규모가 큰 매수 세력은 개인투자자 입니다. 개인 세력은 규모가 있는 매수 주체자임과 동시에 주식마켓에서 제일 약한 세력인 이유는 개개인의 투자 성향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정리하자면 투자의 방향성이 없는 것이 문제인 것입니다. 그래서 외국인 세력과 기관 투자에게 이길 수 없었던 것입니다.

 

그래서 개인 투자 주체는 기관이나 외국인의 흐름을 따라하는 것 밖에 방법이 없습니다. 힘 없는 개인 투자자는 어떤 것들을 매수하고 매도하는지 잘 관찰만 해도 수익을 낼 수 있습니다. 지금 시기에는 외국인 매수보다 기관의 매수를 따라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외국인 매수는 허수가 많고 개인 투자자들이 원하는 단기 매매는 기관투자자가 적합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가장 좋은 경우는 외국인과 기관 모두 매수하는 쌍끌이 주식을 투자하는 것입니다. 기관과 외국인이 같이 매수하는 것은 그만큼 좋은 종목이라는 뜻입니다. 주식의 흐름을 분석하려면 기업체 상태를 분석하고 시장에서 어떤 상태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그리고 기관이나 외국인 매수 추세까지 알아본다면 수익을 낼 확률을 올릴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