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정보

파인텍 주가와 디스플레이 상장기업의 브랜드 평판 순위

by 유후후훅 2023. 12. 26.
반응형

이 글에서는 파인텍 주가 전망과 목표 주가, 기업 정보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주식 투자에서 주목할 점은 미래의 기업 가치를 예측하고 먼저 행동하는 것입니다. 투자 대상을 선정하기 전에 현재의 기업 현황과 수치를 분석해야 합니다. 파인텍 주식의 주요 현황과 투자 정보를 확인하시고 주식 투자를 고려하고 계신다면 유용한 정보들을 모아 놓은 자료를 확인해보세요.

 

파인텍 기업 개요

파인텍 (ifinetek.com)

 

파인텍

 

www.ifinetek.com

파인텍는 디스플레이 및 관련부품 기업입니다. 대표자는 강원일 이며 설립일은 2008/11/19, 주식 상장일은 2015/08/17입니다. 전체 종업원 수는 93명 이고 본사 주소는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38 내제2층202호(도화동)입니다.

 

최근 뉴스

[디스플레이장비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LX세미콘·미래나노텍·톱텍 등 (raonnews.com)

 

[라온신문] [디스플레이장비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LX세미콘·미래나노텍·톱텍 등

[라온신문 기현희 기자] 디스플레이장비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2023년 12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LX세미콘 2위 미래나노텍 3위 티로보틱스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디스플레이장

www.raonnews.com

 

빠른 정보 획득을 위해 항상 최신 뉴스를 점검하고 투자 결정에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파인텍 주가 분석

파인텍 현재 주가는 930원이며 전일 대비 -0.11%의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파인텍의 주주현황을 살펴보면 강원일 주주가 전체 지분 7.18%를 소유하고 있습니다. 파인텍는 디스플레이 및 관련부품 기업으로 시가 총액은 404억 원이며 발행 주식수는 43,431,583주 입니다. 외국인 보유 비중은 1.80% 이며 장중 거래량은 212,864를 기록했습니다. 매출액은 352억 원을 달성했습니다. EPS는 -161원이며 BPS는 783원 입니다.

만약 단기적인 투자를 고려 중이라면 대주주 구성 정보는 필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장기적인 투자 계획이라면 대주주 구성과 대표의 정보를 숙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파인텍 가치 분석

기업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중에서 기술 지표를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파인텍는 전체 기술주 2,068개 기업 중 276위 등급인 상위 28.92%입니다. 대표 섹터 평가 83개 기업 중 24위 등급인 상위 28.92%입니다. 대표 테마 평가 42개 기업 중에서는 13위를 차지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투자 매력도를 평가해보면 전체 기술주 상위 2.51%, 대표 섹터 상위 15.66%, 대표 테마 4위의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동종분야 기업들의 평균적인 기술력 대비 주가에 비하여 현재 동사의 기술력 대비 주가는 저평가되어 있습니다.

 

파인텍 주식 결론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주요 사업 부문은 부품사업부, 장비사업부로 나눌 수 있으며, 주요 제품 생산은 부품사업부-베트남, 장비사업부-국내 에서 영위함. 세계 최초로 공용 BONDING 장비를 개발 및 납품하였으며, 센서 제품으로 첫 전장 시장 진입에 성공함. 동사의 매출구성은Touch System 약 38.99%,Digitizer 약 24.71%, 디스플레이 제조 장비 약 20%, 2차전지 제조 장비 약 12.52%, 기타 약 3.77% 로 구성됨.

 

-2023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0%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2019년에 시작한 2차전지 제조장비 사업에 대해 3년간 꾸준히 투자하고있어 실적 개선이 기대됨. 삼성전자 베트남에 업계 최초로 2013년 현지법인을 설립, 2014년까지 2공장을 증축하였으며, 2015년 9월 3공장을 완공하여 원가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주식시장에서는 외국인, 기관 및 개인 세 가지 주요한 매수 세력이 작용하며, 그 중에서도 개인 투자자가 가장 큰 매수 주체입니다. 큰 매수 주체인 개인 투자자가 주식에서 약한 세력인 이유는 각자의 투자 방식이 맞지 않기 때문입니다. 투자 전략의 집중이 없었기 때문에 기관 투자자나 외국인 투자자에게 이길 수 없었던 것입니다.

 

그렇기에 개인 투자자는 기관이나 외국인 세력을 따라가며, 세력이 약한 상태에서도 투자로 수익을 내는 것이 가능합니다. 최근의 트렌드는 외국인 매수보다 기관 투자자를 따르는 것이 많은데, 이는 외국인의 매수가 허수일 가능성이 있고 개인의 단기 거래가 기관과 유사하기 때문입니다.

 

두 큰 매수주체, 외국인과 기관이 같이 매수하는 종목을 찾아 투자하는 것이 최상의 전략이며, 이것은 그 종목이 가치가 있다는 뜻입니다. 기업의 상태, 시장에서의 위치, 그리고 기관과 외국인의 매수 추세를 분석하는 것은 주식 전망을 정확히 파악하는 데 중요하며, 이를 통해 수익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