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프롬바이오 주가 전망과 목표 주가, 기업 정보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주식 거래에서 중요한 부분은 현재 기업 가치보다는 미래의 기업 가치를 예측하고 먼저 행동하는 것입니다. 투자할 종목을 고르기 전에 현재 기업의 상황과 지표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프롬바이오 주식의 주요 현황과 투자 정보를 확인하시고 주식 투자를 위한 유용한 자료들을 모아놓았으니 투자 시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프롬바이오 기업 개요
프롬바이오는 식료품 기업입니다. 대표자는 심태진 이며 설립일은 2006/06/26, 주식 상장일은 2021/09/28입니다. 전체 종업원 수는 131명 이고 본사 주소는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서천로127번길 10 입니다.
빠른 정보 획득을 위해 항상 최신 뉴스를 확인하고 투자 결정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프롬바이오 주가 분석
프롬바이오는 식료품 기업으로 장중 기준으로 현재 주가는 6,700원이며 전일 대비 -50원의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프롬바이오의 주주현황을 살펴보면 심태진(외 6인)이 지분 42.09%를 소유하고 있습니다. 프롬바이오의 시가 총액은 948억 원이며 발행 주식수는 14,155,000주 입니다. 외국인 보유 비중은 0.73% 이며 장중 거래량은 28,306을 기록했습니다. 매출액은 348억 원, 영업이익은 9억 원을 달성했습니다.
대주주 정보는 단기 투자에는 중요하지 않을 수 있지만, 장기적인 투자를 고려하고 있다면 대주주와 대표의 정보를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프롬바이오 가치 분석
기업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에는 다양한데, 그 중에서 기술 지표를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프롬바이오는 전체 기술주 2,050개 기업 중 1,014위 등급인 상위 41.67%입니다. 대표 섹터 평가 156개 기업 중 65위 등급인 상위 41.67%입니다. 대표 테마 평가 21개 기업 중에서는 13위를 차지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투자 매력도를 평가해보면 전체 기술주 상위 41.95%, 대표 섹터 상위 25.00%, 대표 테마 12위의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동종분야 기업들의 평균적인 기술력 대비 주가에 비하여 현재 동사의 기술력 대비 주가는 저평가되어 있습니다.
프롬바이오 주식 결론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동사는 2006년 6월 26일 건강기능식품원료 및 식품원료 도.소매를 주사업으로 영위할 목적으로 설립됨. 주요 제품은 노바렉스, 코스맥스바이오, 콜마비앤에이치 등의 전문생산업체를 통해 외주생산되고 있으며, 홍삼제품군 및 과채주스 등 일부 품목은 동사의 익산공장을 통해 자체생산하고 있음.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지향식품 완제품을 홈쇼핑, 온라인, 백화점 및 대형마트 등의 채널을 통해 유통/판매함.
-2023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4.6%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동사는 간 건강, 체지방감소, 수면 건강 등의 소재 개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화장품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어 실적 개선이 기대됨. 개별인정형 원료로 만든 신제품, 화장품 자회사 프롬바이오코스메틱의 신제품 출시를 통해 매출원을 다변화를 위해 오력하고 있어 실적 개선이 기대됨.
주식 시장에서 외국인, 기관 및 개인 세 가지 매수세력이 존재합니다. 가장 큰 매수 주체는 확실히 개인 투자자입니다. 개인 투자자는 큰 매수 주체로서, 투자 전략의 불일치로 주식 시장에서 약한 세력입니다. 집중된 투자 방식이 없었기 때문에, 기관투자자나 외국인 투자자에게 지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그러므로 개인 투자자는 기관이나 외국인 세력의 움직임을 따라가고, 약한 세력에서도 투자의 선택을 통해 수익을 얻습니다. 최근에는 외국인보다 기관 투자자를 따르는 흐름이 많습니다. 외국인의 매수는 종종 허수로 여겨지고, 개인의 단기 거래는 기관과 유사한 경향이 있습니다.
외국인과 기관이 모두 매수하는 종목을 선택하는 것은 가장 바람직한 상황이며, 이는 그 종목이 가치 있음을 의미합니다. 기업 상태와 시장에서의 위치, 그리고 기관과 외국인의 매수 추세를 이해하는 것은 주식 전망을 분석하는데 중요하며, 이를 통해 수익률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주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이앤엘 주가 분석 물가 상승에 따른 변동 예측 (0) | 2023.11.11 |
---|---|
EDGC 주가와 글로벌 시장 동향 분석과 예측 (0) | 2023.11.11 |
스킨앤스킨 주가와 환율 변동 상관 관계 탐색 (0) | 2023.11.11 |
티플랙스 주가와 경제 정책 변화 영향 (0) | 2023.11.11 |
모비스 주가와 경제 정책의 변화와 시장 변동 (0) | 2023.11.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