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정보

한국항공우주 기업 정보 및 전망

by 유후후훅 2023. 5. 3.
반응형

한국항공우주 기업 개요

한국항공우주는 상업서비스 기업입니다. 대표자는 강구영 이며 설립일은 1999/12/14, 주식 상장일은 2011/06/30입니다. 전체 종업원 수는 5,079명 이고 본사 주소는 경남 사천시 사남면 공단1로 78입니다.

반응형

한국항공우주 주가 분석

한국항공우주 현재 주가는 54,000원이며 전일 대비 -600원의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항공우주의 주주현황을 살펴보면 FIDELITY MANAGEMENT & RESEARCH COMPANY LLC(외 8인)이 지분 26.41%를 소유하고 있습니다. 한국항공우주의 시가 총액은 5조3221억 원이며 발행 주식수는 97,475,107주 입니다. 외국인 보유 비중은 28.21% 이며 장중 거래량은 642,362를 기록했습니다. 매출액은 27,869억 원, 영업이익은 583억 원을 달성했습니다. EPS는 2,532원이며 한국항공우주 주식 배당수익률은 0.46% 입니다.

출처 - 네이버

만약 단기로 투자한다면 주주현황 정보는 필요 없겠지만 길게 봤을 때 기업 가치를 앞으로 평가해보고 분석할 때는 경영진의 상태와 능력을 보는 것도 필요합니다. 대주주를 직접 면담할 수는 없지만 어떤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지는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한국항공우주 가치 분석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 기술지표를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드립니다. 한국항공우주는 전체 기술주 1,997개 기업 중 80위 등급인 상위 13.89%입니다. 대표 섹터 평가 36개 기업 중 5위 등급인 상위 13.89%입니다. 대표 테마 평가 6개 기업 중에서는 2위를 차지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투자 매력도를 평가해보면 전체 기술주 하위 42.41%, 대표 섹터 상위 41.67%, 대표 테마 3위의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동종분야 기업들의 평균적인 기술력 대비 주가에 비하여 현재 동사의 기술력 대비 주가는 고평가되어 있습니다.

한국항공우주 주식 결론

<매출액 및 수익성 증가>

 

-동사와 종속회사는 항공기, 우주선, 위성체, 발사체 및 동 부품에 대한 설계, 제조, 판매, 정비 등의 사업을 영위. 군수사업의 대부분은 내수로 구성되며 수요자인 한국정부(방위사업청)와 계약을 통해 제품(군용기)의 연구개발, 생산, 성능개량, 후속지원 등을 수행. 항공산업은 군용기, 민항기, 헬기 등 항공기를 개발하고 개발된 항공기를 양산하는 항공기 제조산업과 운영되는 항공기의 정비 및 개조를 담당하는 MRO산업으로 구분.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6% 증가, 영업이익은 46.2% 증가, 당기순이익은 87.4% 증가. KF-21, 한국형기동헬기3, 4차 양산, 영상레이더·전자광학 위성, 소형무장헬기 체계 개발 등 방위사업청을 대상으로 한 국내 사업에서 1조 3,233억원의 매출을 거둠. 고해상도 영상레이더 탑재 위성과 전자광학(EO)/적외선장비(IR) 탑재 위성을 2025년까지 개발을 완료하는 425개발 사업 진행 중.

 

주식을 이야기할 때 3가지 매수 주체는 개인투자자와 외국인, 기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3개 주체 중에 제일 큰 매수 주체는 개인 세력입니다. 개인 세력은 규모가 큰 매수 세력임과 동시에 주식판에서 제일 약체인 이유는 개인의 투자 방향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한마디로 투자의 방향성이 없는 것이 문제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기관투자나 외국인에게 이기기가 어려운 것입니다.

 

그렇기에 개인 투자자는 외국인이나 기관의 투자를 따라할 수 밖에 없습니다. 개인 투자자들은 이들이 어떤 종목을 매수 매도 하는지 관찰만 해도 수익을 낼 수 있습니다. 지금 시기에는 외국인 매수보다 기관의 매수를 따라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외국인 매수는 허수가 많고 개인이 선호하는 단기 거래는 기관과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가장 좋은 경우는 기관과 외국인이 같이 매수하는 쌍끌이 종목을 공략하는 것입니다. 기관과 외국인이 같이 매수하는 것은 그만큼 좋은 종목이라는 뜻입니다. 해당 종목의 주가 전망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기업체 상태를 분석하고 시장에서의 위치를 분석해야 합니다. 거기에 기관과 외국인 매수 흐름을 확인한다면 투자에 있어서 확률을 올릴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