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정보

CMG제약 주가와 미국 경기 예측

by 유후후훅 2023. 11. 17.
반응형

이 글에서는 CMG제약 주가 전망과 목표 주가, 기업 정보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주식 투자에서 핵심은 미래의 기업 가치를 예상하고 선제적으로 움직이는 것입니다. 투자 대상을 결정하기 전에 현재 기업의 현황과 수치를 검토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CMG제약 주식의 주요 현황과 투자 정보를 확인하시고 주식 투자에 도움이 될 만한 정보들을 모아 놓았으니 투자를 고려하실 때 참고하세요.

 

CMG제약 기업 개요

CMG제약는 제약 기업입니다. 대표자는 이주형 이며 설립일은 2001/08/01, 주식 상장일은 2001/08/31입니다. 전체 종업원 수는 263명 이고 본사 주소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학동로 170 베터라이프빌딩 3층(논현동)입니다.

 

최근 뉴스

https://www.newsis.com/view/?id=NISX20231024_0002494126&cID=10434&pID=13200

 

CMG제약·초당약품, 관절염 약 공동판매…"영업 시너지"

[서울=뉴시스]송연주 기자 = 제약기업 CMG제약은 초당약품과 관절염 복합제제 개량신약인 '씨콕스플러스정'에 대한 공동판매 MOU를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www.newsis.com

효율적인 투자를 위해 빠른 정보 획득을 위해 항상 최신 뉴스를 점검해보세요.

 

CMG제약 주가 분석

CMG제약는 제약 기업으로  현재 주가는 2,170원이며 전일 대비 +5원의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CMG제약의 주주현황을 살펴보면 이 지분 25.84%를 소유하고 있습니다. CMG제약장중의 시가 총액은 3014억 원이며 발행 주식수는 138,892,244주 입니다. 외국인 보유 비중은 5.33% 이며 장중 거래량은 182,380를 기록했습니다. 매출액은 484억 원, 영업이익은 30억 원을 달성했습니다. EPS는 29원이며 BPS는 1,391원입니다.

만약 단기 투자를 고려하고 있다면 주주현황 정보는 필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장기적인 투자를 계획 중이라면 주주현황과 대표의 정보를 숙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CMG제약 가치 분석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은 많지만, 그 중에서도 기술 지표를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CMG제약는 전체 기술주 2,052개 기업 중 1,376위 등급인 하위 35.26%입니다. 대표 섹터 평가 156개 기업 중 101위 등급인 하위 35.26%입니다. 대표 테마 평가 81개 기업 중에서는 53위를 차지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투자 매력도를 평가해보면 전체 기술주 하위 20.96%, 대표 섹터 하위 22.44%, 대표 테마 61위의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동종분야 기업들의 평균적인 기술력 대비 주가에 비하여 현재 동사의 기술력 대비 주가는 고평가되어 있습니다.

반응형

CMG제약 주식 결론

<데핍조 허가 지연>

 

-동사는 2001년 8월 코스닥에 상장하였으며, 2014년 4월 판교 차바이오 컴플렉스 내 R&D 및 Business 인프라를 구축하였음. 세계 최초의 필름형 조현병 치료제인 "데핍조”(아리피프라졸 ODF)를 미국 FDA에 판매승인 신청하였으나 코로나19로 인하여 예상보다 지연되고 있음. 차바이오텍과 함께 줄기세포치료제, 면역세포치료제 등 다양한 세포치료제 기반 기술을 통한 글로벌 CDMO사업에 참여하고 있음.

 

-23년 6월 연결기준 매출액은 483.9억원, 영업이익은 32.2억원, 당기순이익은 64억원의 실적을 기록함. FDA 판매승인 신청한 "데핍조”(조현병 치료제)가 원료업체 인도 공장에서 또 다른 불순물 이슈가 발생하면서 미국 승인 일정이 당초보다 지연될 것으로 보임. 현재는 살탄계 또 다른 불순물 아지도(AZBT) 이슈가 발생한 상태이며, 관련 FDA 실사가 올해 말이나 내년 초 있을 것으로 예상됨.

 

주식시장에서는 외국인, 기관 및 개인 등 세 가지 주요 매수 세력이 활동합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매수 비중이 큰 주체는 개인 투자자입니다. 개인 투자자는 큰 매수 주체이나 각각의 투자 선택의 불일치로 인해 주식에서 약한 세력입니다. 단순히 말해서, 집중된 투자 전략이 없었던 것이 기관투자자나 외국인 투자자에게 지는 이유였습니다.

 

이 때문에 개인 투자자는 기관이나 외국인 세력을 따라 움직이며, 약한 세력에서도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최근에 외국인보다 기관 투자자를 따르는 경향이 더 큰데, 외국인의 매수가 종종 불확실하고 개인의 단기 거래가 기관과 유사하기 때문입니다.

 

가장 이상적인 상황은 외국인과 기관이 동시에 매수하는 종목을 발견해 투자하는 것입니다. 양측 매수주체가 동시에 매수하면, 그 종목이 좋은 것임을 의미합니다. 기업 상태와 시장 내 위치, 그리고 기관과 외국인의 매수 추세를 분석하는 것은 주식의 미래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며, 이로 인해 수익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