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KBG 주가 전망과 목표 주가, 기업 정보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주식 투자의 핵심은 현재의 기업 가치보다는 미래의 가치를 예측하며 먼저 대응하는 것입니다. 투자 대상을 결정하기 위해 먼저 현재 기업 상태와 수치를 검토해야 합니다. KBG 주식의 주요 현황과 투자 정보를 확인하시고 주식 투자를 고려하고 계신다면 유용한 정보들을 모아 놓은 자료를 확인해보세요.
KBG 기업 개요
KBG는 화학 기업입니다. 대표자는 부삼열 이며 설립일은 2001/03/02, 주식 상장일은 2019/08/01입니다. 전체 종업원 수는 66명 이고 본사 주소는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 대흥신덕길 84-19입니다.
최근 뉴스
https://www.mk.co.kr/news/society/10870174
실리콘 소재 분야의 차세대 리더, KBG 부삼열 대표 - 매일경제
KBG의 새로운 비전 “고객에게 미래와 가치를 위한 선택이 되는 것”
www.mk.co.kr
빠른 정보 획득을 위해 항상 최신 뉴스를 확인하고 투자 결정에 유의하세요.
KBG 주가 분석
KBG는 화학 기업으로 주가는 8,300원이며 전일 대비 +0.48%의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KBG의 주주현황을 살펴보면 부태웅(외 11인)이 지분 35.95%를 소유하고 있습니다. KBG의 시가 총액은 725억 원이며 발행 주식수는 8,740,223주 입니다. 외국인 보유 비중은 4.20% 이며 장중 거래량은 61,392를 기록했습니다. 매출액은 168억 원, 영업이익은 41억 원을 달성했습니다. EPS는 436원이며 KBG 주식 배당수익률은 1.20% 입니다.
KBG 가치 분석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은 다양한 접근법이 있는데, 그 중에서 기술 지표를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KBG는 전체 기술주 2,056개 기업 중 1,445위 등급인 하위 31.58%입니다. 대표 섹터 평가 95개 기업 중 65위 등급인 하위 31.58%입니다. 대표 테마 평가 9개 기업 중에서는 5위를 차지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투자 매력도를 평가해보면 전체 기술주 하위 43.00%, 대표 섹터 하위 46.32%, 대표 테마 3위의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동종분야 기업들의 평균적인 기술력 대비 주가에 비하여 현재 동사의 기술력 대비 주가는 적정합니다.
KBG 주식 결론
<매출 감소, 수익성 악화>
-동사는 2001년 설립되어 2019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하여 실리콘 소재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정밀화학/바이오 사업을 일부 영위하고 있음. 핵심 제품은 실란 모노머, 실리콘 레진&폴리머, 실리콘 융합 소재이고 주요 거래처는 바커케미칼코리아, wacker chemical, Dow, KCC실리콘 등이 있음. 사업영역 확대로 계열화 사업을 추진하여 현재는 주력사업인 실리콘 사업 부문과 정밀화학 사업 부문을 추가함.
-2023년 6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0.6% 감소, 영업이익은 13.6% 감소, 당기순이익은 30.2% 증가. 국내 영업팀은 내수거래처 영업대응을 하고 있으며 해외 영업팀은 해외 수출처 신규 발굴, 기존 수출처 관리와 함께 원료 수입업무를 겸하고 있음. 동사는 제1공장과 제2공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항공, 전자재료, 에너지, 접착제, 건축, 모빌리티 시장에 실리콘 중간 소재를 공급하고 있음.
주식시장에서는 외국인, 기관 그리고 개인 등 세 가지 주요 매수 세력이 작용하며, 그 중에서도 개인 투자자가 가장 큰 매수 주체입니다. 개인 투자자는 큰 매수 주체이지만, 각자의 투자 방식이 맞지 않기 때문에 주식에서 약한 세력입니다. 간단히 말해, 투자 전략이 부족했기 때문에 기관 투자자나 외국인 투자자에게 밀렸던 것입니다.
따라서 개인 투자자는 기관이나 외국인 세력을 따라 움직이며, 세력이 약한 상황에서도 어떤 것을 사고 팔아 이익을 냅니다. 최근 트렌드는 외국인을 따르기보다 기관 투자자를 따르는 경우가 많은데, 외국인 매수의 허수와 개인의 단기 거래가 기관과 유사한 패턴을 보이기 때문입니다.
외국인과 기관이 공동으로 매수하는 종목에 투자하는 것이 최선의 선택이며, 그것은 좋은 종목임을 의미합니다. 주식의 미래를 정확히 이해하려면 기업체의 현황, 시장 내 위치, 그리고 기관과 외국인의 매수 추세까지 분석해야 하며, 이렇게 하면 수익의 가능성을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주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승 주가와 신산업 동향과 전망 (0) | 2023.11.27 |
---|---|
엔비티 주가와 환율 변동의 영향과 글로벌 영향 (0) | 2023.11.27 |
비츠로테크 주가와 미국 경기의 영향과 경향 예측 (0) | 2023.11.27 |
다보링크 주가와 신산업 동향 분석과 기회 탐색 (0) | 2023.11.27 |
지니너스 주가와 기술 혁신 상승 최신 동향 분석 (0) | 2023.11.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