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일할 때, 특히 노후를 계획한다면 국민연금을 비롯한 4대 보험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국민연금 가입자는 지난해 말 기준 2235만 명에 달해 근로인구의 상당수가 가입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민연금 관련 정보를 검색하다 보면 국민연금의 문제를 다룬 기사를 자주 접하게 되는데 이런 기사를 볼때마다 과연 나는 국민연금을 받을 수 있을까를 고민하게 될 것입니다.
그렇다면 내가 내는 국민연금을 얼마를 내면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 이를 찾아보려면 어디에서 해야하는 지를 알아보겠습니다.
국민연금이란?
정부가 직접 운영하는 공적 연금제도로, 국민 개개인이 소득 활동을 할 때 납부한 보험료를 기반으로 하여 나이가 들거나 갑작스러운 사고나 질병으로 사망 또는 장애를 입어 소득활동이 중단된 경우 본인이나 유족에게 연금을 지급함으로써 기본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금제도
국민연금 가입자는 현재 2200만 명에 이르지만 저출산으로 세대가 지날수록 가입자가 크게 줄어드는 것은 자명합니다. 어려운 일이기는 하지만 저는 노후 계획을 위해서 내가 받을 수 있는 잠재적 금액을 고려하는 것에 필요합니다.
국민연금 수령액 조회방법
다음이나 네이버에서 국민연금을 검색하면 '국민연금공단'이 나오는데 저기서 내연금알아보기를 클릭하시면 쉽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 클릭하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뜨는데 예상연금액 조회를 누르시면 쉽사리 조회할 수 있습니다.(단, 공인인증이 필요합니다.)
본인인증이 완료되면 현재 국민연금에 가입하고 있는 금액에 대한 검색결과가 나옵니다. 향후 받을 수 있는 예상 금액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계산된 값은 현재 소득 수준을 기준으로 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득이 변동하므로 그에 따라 금액이 변경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https://www.nps.or.kr/jsppage/nps_gate.jsp
국민연금공단
www.nps.or.kr
국민연금 수령 시기
국민연금은 18세에서 59세 사이에 가입한 후 이 기간 내에 최소 10년 동안 납입한 경우 수령할 수 있습니다. 예전에는 65세부터 연금을 받을 수 있었지만, 23년부터는 수급자의 출생연도에 따라 5년마다 1년씩 늦춰지도록 변경됐습니다. 예를 들어, 1961년, 1965년, 1969년에 태어난 사람들은 연금을 받을 수 있는 나이가 1년 지연됩니다.
국민연금은 조기 퇴직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개인은 최대 5년 더 일찍 연금을 받을 수 있지만 표준 은퇴 연령 이전에 받은 매년 6%씩 감액됩니다.
이 감소율은 수혜자의 평생 동안 유효하므로 표준 퇴직 연령까지 기다리는 사람들에 비해 연금 혜택이 적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반면에 개인은 연금받는 시기를 연기할 수도 있습니다. 연금을 유예하면 연금액을 연기할 때마다 7.2%씩 늘릴 수 있다. 이는 특정 상황에서 유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연금 개시 시점에 신고된 소득이 국민연금에서 정한 월 소득 기준액을 초과하는 경우 연금 수령을 연기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연금 시작 시점의 소득이 높을수록 연금 혜택이 줄어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최저시급은 얼마일까 (0) | 2023.11.03 |
---|---|
고향사랑기부제 세액공제 및 혜택 (0) | 2023.05.17 |
위스키 초보자에게 추천하는 위스키 (0) | 2023.05.17 |
만 나이 통일법 시행-23년 6월 28일 (0) | 2023.05.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