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2024년 최저시급은 얼마일까

by 유후후훅 2023. 11. 3.
반응형

최저임금제도란?

국가가 노사 간의 임금결정과정에 개입하여 임금의 최저수준을 정하고, 사용자에게 이 수준 이상의 임금을 지급하도록 법으로 강제함으로써 저임금 근로자를 보호하는 제도를 말한다.(출처-네이버 지식백과)

 

만약 최저임금제를 지키지 않을시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 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되며 이는 동시 부과될 수 있다. 또 최저임금을 고지 하지 아니할 시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반응형

 

얼마나 시급이 올랐을까?

 

2010년부터 2023년까지 평균 390씩, 6.26% 올랐으며 최대 1060원 올랐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연도
시급
전년대비 인상률(%)
시간급 전년대비 인상액(원)
일급 (일 8시간 기준)
월급(주 40시간, 월 209시간 기준)
2010년
    4,110
2.75
110
3만 2,880원
858,990원
2011년
    4,320
5.10
210
3만 4,560원
902,880원
2012년
    4,580
6.00
260
3만 6,640원
957,220원
2013년
    4,860
6.10
280
3만 8,880원
1,015,740원
2014년
    5,210
7.20
350
4만 1,680원
1,088,890원
2015년
    5,580
7.10
370
4만 4,640원
1,166,220원
2016년
    6,030
8.10
450
4만 8,240원
1,260,270원
2017년
    6,470
7.30
440
5만 1,760원
1,352,230원
2018년
    7,530
16.40
1,060
6만 240원
1,573,770원
2019년
    8,350
10.90
820
6만 6,800원
1,745,150원
2020년
    8,590
2.90
240
6만 8,720원
1,795,310원
2021년
    8,720
1.50
130
6만 9,760원
1,822,480원
2022년
    9,160
5.05
440
7만 3,280원
1,914,440원
2023년
    9,620
5.00
460
7만 6,960원
2,010,580원

 

2024년의 시급은 얼마일까?

2024년의 시급은 전년 대비 240원 오른 9,860원입니다. 하루 8시간 기준으로 일급은 7만,8880원이고, 주 40시간 월 209시간(주당 유급주휴 8시간 포함) 기준으로 월급은 2,060,740원 입니다.

이러한 최저시급은 1인이상의 근로자가 일하는 모든 사업장에 적용이 되고, 정규직 뿐 아니라 계약직, 일용직, 시간제, 외국인 근로자까지도 적용됩니다.

 

최저시급의 의미

최저시급은 근로자가 최소한으로 받아야 하는 시간 당 임금을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이것은 정부나 정부가 인정하는 근로 단체 등에서 결정됩니다. 최저시급은 일반적으로 근로자의 기본 급여를 보장하고, 경제적으로 취약한 근로자의 권익을 보호하는 데 사용됩니다.

 

최저시급은 지역, 국가 또는 주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시장 조건, 인플레이션, 경제 상황 등을 고려하여 정해집니다. 그것은 최저 임금법으로 법적으로 규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최저시급은 근로자의 생계를 유지하고 일자리의 가치를 인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는 노동 시장에서 공정한 대우와 경제적 안정을 촉진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 수단 중 하나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