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문증이란?
비문증은 날파리증이라고도 불리는 흔한 질환으로 눈앞에 잡으려고 해도 잡을 수 없는 벌레, 검은 점, 먼지 같은 것이 떠다는 것처럼 보이는 증상입니다. 비문증은 50 ~ 60대들은 흔하게 겪는 증상으로 노화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연스러운 증상입니다. 보통 40대부터 생기기 시작하지만 근시가 심한 경우에는 청년기 이후부터 비문증이 시작할 수도 있습니다. 비문증이 노화의 자연스러운 과정이라고 할지라도 다른 원인에 의해서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증상이 나타난다면 안과 진료를 받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비문증의 원인과 유형은?
비문증이 발생하는 이유는 노화입니다. 사람의 눈 속에는 유리체라고 불리는 무색투명한 조직이 있습니다. 이 유리체의 투명도가 시력에 영향을 미칩니다. 사람이 나이를 먹음으로써 이 유리체 역시 같이 노화가 진행되는데 그 과정에서 부유물들이 생기게 되고 그에 따라 눈앞에 벌레가 날아다는 것처럼 보이는 비문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외에도 망막 혈관 질환(백내장 수술, 당뇨망막병증, 후유리체 박리, 망막 혈관의 파열에 의한 유리체 출혈, 포도막염, 망막 정맥 폐쇄, 고혈압 망막증 등)을 경험한 후 비문증이 발생할 수 있고 근시 역시 비문증의 원인 되기도 합니다.
비문증은 생리적 비문증과 병적인 비문증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생리적 비문증은 위에서 말한 노화로 인해서 발생하는 비문증입니다. 사람이 나이를 먹게 되면 유리체가 유리체 액화 현상(유리체의 일부분이 수분과 섬유질로 분리되는 현상)으로 인해서 유리체가 수축하면서 두꺼워지고 오그라들고 섬유질의 밀도가 부분적으로 높아져서 눈앞에 부유물이 보이게 되고, 또 후유리체 박리(유리체가 망막에서 떨어져 나오는 것) 때문에 유리체의 일부가 부유물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병적인 비문증은 다른 안구 질환의 증상 중 하나로 발생하는 비문증을 뜻합니다. 먼저 망막열공(망막의 찢어짐) 및 망막박리에 의해서 비문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유리체 액화 현상 및 유리체 수축은 망막을 당기는 현상이 일어나는데 이는 광시증(눈 속에서 번쩍이는 현상을 느끼는 증상)을 유발하기도 하지만 보통의 경우에는 큰 문제가 생기지 않습니다. 하지만 망막을 당기는 힘이 특정 부위에서만 일어나거나 힘이 강할 경우 또 유리체와 망막 간에 접착이 강한 경우에는 망막열공이 발생할 수 있고 이것으로 인해 비문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로 인해 망막이 원래 자리에서 떨어져 나올 수 있는데 이는 열공 망막박리라고 합니다. 떨어진 망막으로 인해 시야가 가려지게 되고 시력 역시 떨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비문증과 더불어 광시증, 시야 방해, 시력저하 현상이 있다면 꼭 안과를 찾는 것이 좋습니다. 두 번째로 안구의 염증성 질환으로 인해서도 비문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구에 염증성 질환이 발생하면 안통이나 충혈, 시력저하, 두통 등의 증상과 함께 비문증이 발생하더라도 안과를 방문하여야 합니다. 세 번째로 유리체 출혈로 인해서도 비문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유리체에 출혈이 생기면 시야가 가려지게 되고 그 그림자로 인하여 비문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유리체 출혈의 원인으로는 당뇨망막병증, 망막혈관폐쇄, 망막혈관염, 맥락막신생혈관, 뇌지주막하출혈 등으로 다양하며 고혈압이나 당뇨병 환자가 비문증 증상을 호소한다면 유리체 출혈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안구의 외상에 의해서 비문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외부 충격에 의해서 비문증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망막열공 및 망막박리가 일어났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안과를 방문해야 합니다.
비문증의 증상은?
비문증이 날파리증이라고 불리는 이유는 증상 때문입니다. 눈앞에 벌레나 먼지 같은 부유물질이 떠다니는 것처럼 보이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는 주로 눈을 뜨고 있을 때 보이지만 눈을 감아도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비문증의 증상을 한번 나타나게 되면 증상의 정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지속적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비문증과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것은 광시증이 있습니다. 이 증상 역시 노화로 인해 발생하는 자연스러운 증상이며 증상이 생겼다가 없어지기를 반복합니다. 편두통으로 인해서 광시증이 발생하기도 하고 이 증상만으로는 걱정할 필요는 없지만 간혹 새로운 비문증이 생겼거나 광시증의 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망막박리를 의심해 볼 수는 있습니다.
비문증 치료는 가능한가?
비문증으로 환자가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주는 정도의 고통을 겪는 게 아니라면 수술적 치료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비문증이 생겼다고 해서 시력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환자가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이를 무시하는 것이 가장 좋은 치료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간혹 망막박리 초기 증상에 의해서 비문증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기 때문에 증상이 나타났을 때는 안과 진료를 받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다른 방법으로는 레이저 치료나 수술 통해서 비문증을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레이저 치료는 레이저를 통해서 큰 부유물을 깨트려서 증상을 완화시켜 줍니다. 하지만 이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으며 오히려 큰 부유물이 작게 부서지면서 개수가 늘어나 수술 후 더 불편함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리고 치료 과정에서 망막이 손상될 위험성도 있기 때문에 추천드리는 치료 방법은 아닙니다. 수술적 치료 역시 레이저 치료와 비슷합니다. 만약 부유물의 크기 커서 시축을 가로막게 되면 수술로 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지만 이 또한 합병증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추천하는 치료 방법이 아닙니다.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이즈의 치료방법과 예방법은 무엇일까? (0) | 2022.10.17 |
---|---|
내 아이의 이상행동, 틱 장애 극복을 위한 부모로서의 역할은? (0) | 2022.10.14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무엇이며 왜 발생할까? (0) | 2022.10.13 |
요로 결석의 증상과 주의사항 (0) | 2022.10.13 |
녹내장, 소리없이 다가오는 질병 (0) | 2022.10.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