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혈압의 뜻
저혈압은 혈압이 수축기 혈압 120mmHg, 확장기 혈압 80mmHg 보다 낮게 나오는 것을 의미하며 저혈압의 범위는 수축기 혈압 100mmHg 이하, 확장기 혈압이 60mmHg 이하인 경우입니다. 기립성 저혈압의 경우에는 누웠다가 일어나는 순간 수축기 혈압이 20mmHg, 확장기 혈압이 10mmHg 이상으로 나타날 때를 뜻합니다. 하지만 고혈압과 달리 저 기준에 해당할 때가 명확히 저혈압이라고 규정할 수는 없습니다.
저혈압의 원인과 증상
저혈압의 원인으로는 심장 질환, 신경계 질환, 체액 감소, 출혈, 약물 등을 꼽을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원인 요소가 없음에도 저혈압으로 측정되는 경우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저혈압 증상 중 가장 흔한 것은 현기증과 두통 및 무기력감입니다. 그리고 증상이 심한 경우 실신, 시력장애, 구역질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이밖에도 불면증이나 변비, 맥박이 서서히 뛰는 등의 증상이 보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측정한 혈압은 저혈압 수치에 들어가지만 특별한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렇듯 저혈압의 원인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저혈압의 유형
저혈압의 유형은 크게 3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증후성 또는 속발성 저혈압입니다. 이는 기저질환이 원인이 되어서 나타나는 저혈압으로 해당 기저질환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증상을 보여주는 특징이 있습니다. 두 번째로 본태성 저혈압입니다. 보통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저혈압의 형태로써 명확한 원인 없는 저혈압으로 현기증이나 두통, 무기력증 등 저혈압의 일반적인 형태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하지만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으며 증상이 특별히 없다면 따로 치료를 진행하지는 않습니다. 세 번째로 급성 저혈압입니다. 이는 출혈과다, 체액 감소, 심근경색증, 패혈성 쇼크, 심장 질환, 미주신경성 실신 등으로 발생하는 저혈압 쇼크가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네 번째로 기립성 저혈압입니다. 기립성 저혈압의 경우에는 위 다른 저혈압과 다르며 명확한 증상이 보입니다. 앉아 있거나 누워 있다가 갑자기 일어날 때 발생하는 저혈압으로 50세 미만에게서는 100명 5명 정도에게 나타나지만 70세 이상의 경우에는 100 중 30명 정도가 경험하게 됩니다. 이처럼 기립성 저혈압은 고령이거나 음주 또는 탈수 증상이 심한 경우, 하체의 혈관이 확장되었을 경우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섯 번째로 식후 저혈압입니다. 해당 유형은 식사를 할 때 우리의 몸의 혈액은 소화기계로 몰리게 됨으로써 다른 장기의 혈액 공급량은 떨어지게 됩니다. 건강한 사람의 경우라면 특별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고령이거나 자율신경계의 기능이 떨어진 경우, 불특정 이유로 인해 혈액량이 감소한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유형입니다. 여섯 번째로 약제에 의한 저혈압입니다. 고혈압 약, 항협심증 약, 항파킨슨병 약, 우울증 약 등을 복용할 시 혈압이 낮아져서 발생하는 유형입니다.
저혈압의 진단
저혈압의 진단은 원인을 찾는 것이 우선입니다. 먼저 환자와 면담을 진행하고 맥박, 호흡수, 혈압 측정을 합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혈액 검사, 직장 수지 검사 등을 할 수도 있습니다. 또 심장질환이 원인인지 확인하기 위해서 심전도, 심초음파 검사를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 기립성 저혈압의 경우에는 기립 경사도 검사를 하게 됩니다.
저혈압의 치료
저혈압의 경우에는 특별히 어지러움이나 두통 등의 구체적인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측정한 혈압이 저혈압이라고 하더라도 치료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출혈 등으로 발생한 저혈압의 경우에는 예외입니다. 이 경우에는 빠른 수혈과 더불어 출혈 부위를 찾아내어 지혈을 해야 합니다. 기립성 저혈압의 경우에는 비약물성 치료와 약물성 치료를 통해서 치료를 진행하게 됩니다.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비약물성 치료의 방법으로 생활습관 교정이 가장 중요합니다. 충분한 수분 섭취와 보통 강도의 규칙적인 운동을 해야 합니다. 그리고 누웠다가 일어날 때는 갑자기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서서히 일어나는 습관을 만들어야 합니다. 그리고 압박 스타킹 착용을 권유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비약물성 치료를 진행하였음에도 상태가 호전되지 않는다면 약물성 치료를 동시에 진행하게 됩니다.
저혈압과 관련된 질병들
저혈압에 관련 질병들 다양합니다. 먼저 혈류장애, 심장근육 질환, 부정맥, 전도 장애, 심근염, 심낭염, 심막염, 정맥 폐색 등 심장, 혈관 기능 이상에 관련 질병들이 있습니다. 두 번째로 대사성, 내분비 질환에 관련된 질환입니다. 당뇨, 애디슨병, 점액수종, 요붕증, 부신피질 부전, 저알도스테론혈증 등이 있습니다. 세 번째로 혈관 및 신경께 질환입니다. 다발성 경화증, 파킨슨 병 등이 있습니다. 네 번째로 혈관 내 용적 부족에 의한 질환으로 패혈증, 영양실조 등이 있습니다.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방간의 유형과 치료 및 예방방법 (0) | 2022.10.25 |
---|---|
류머티즘 관절염의 증상과 주의사항 (0) | 2022.10.24 |
폐암이 발생하는 원인과 치료방법 (0) | 2022.10.22 |
우울증의 구체적인 증상과 치료방법 (0) | 2022.10.21 |
베체트 병은 구체적으로 어떤 병일까? (0) | 2022.10.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