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간의 발생원인 및 유형
지방간은 간에 5% 이상의 지방이 쌓여있는 경우를 뜻합니다. 지방간의 발생원인으로는 음주, 비만, 당뇨병, 고지혈증이 있습니다. 발생원인에 따라 알코올성 지방간과 비알코올성 지방간으로 구분하여 볼 수 있습니다. 먼저 알코올성 지방간의 경우 음주로 인해 알코올 섭취량이 늘어나게 되면 간에서 지방 합성이 빨라지게 되고 이에 따라 비정상적인 에너지 대사가 이루어지게 되면서 발생하게 됩니다. 그리고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알코올 섭취량과는 무관하게 비만이나 당뇨병, 고지혈증, 약물 등에 의해서 발생하는 지방간입니다. 이러한 지방간은 현대인의 질환으로 불리는데 영양상태가 좋아진 현대에 들어서 지방간 환자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입니다.
지방간의 구체적인 증상
지방간의 구체적인 증상은 지방간의 기간, 다른 질환의 유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외관상으로 크게 드러나는 질환이 아니라서 지방간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건강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방간의 경중에 따라 무증상에서부터 피로감, 오른쪽 복부 통증까지 여러 가지 형태로 증상이 보입니다. 이외에도 일반적인 간 질환에서 느낄 수 있는 가벼운 증상들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지방간의 진단
지방간을 진단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간기능 검사, 복부 초음파 검사, 자기공명영상촬영, 컴퓨터 단층촬영, 간섬유화 검사, 간 조직검사 등을 통해서 진단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방간은 특별한 증상이 없이도 나타나는 질환이기 때문에 지방간을 검사하기 위해서 검사받아서 진단되는 경우보다 다른 질환 검사를 위해서 병원을 찾았거나 건강검진 중 발견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지방간의 치료
지방간 치료는 원인에 따라서 다르게 진행됩니다. 먼저 지방간의 원인이 알코올일 경우에는 금주를 해야 합니다. 그리고 꾸준한 운동도 중요합니다. 알코올성 지방간의 경우에는 금주를 하지 않으면 알코올성 간염 및 간변병증 등 다른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알코올성 지방간 환자가 금주와 식이요법을 병행할 시 4 ~ 8주가 지나야 간의 지방이 없어지기 시작하고 3 ~ 4개월 정도가 지나면 완치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두 번째로 비만이 원인 경우에는 다이어트를 해야 합니다. 다이어트를 할 때는 급격하게 하면 오히려 지방간이 악화되기 때문에 3 ~ 6개월 정도의 기간으로 현 체중의 10% 정도로 진행해야 하고 운동과 식이요법을 병행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세 번째로 당뇨병으로 인한 지방간의 경우에는 혈당 조절을 위한 식이요법과 금주, 필요에 따라 약물 치료를 같이 진행할 수 있습니다. 식사의 섭취량을 줄이면서 적당한 탄수화물과 동식물성 단백질의 균형 있는 섭취를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마지막으로 약물 복용으로 인한 지방간의 경우에는 담당의와 상의한 후 약물 복용량을 줄이거나 대체 약물을 처방받을 수 있습니다. 지방간을 치료할 수 있는 근본적인 약제가 없기 때문에 생활습관을 개선하고 규칙적인 운동을 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방간의 합병증
알코올성 지방간의 경우에는 금주를 하지 않으면 만성 감염, 간경변증 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만성 B형 간염이나 만성 C형 간염 환자의 과음이 지속된다면 간암 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경우에는 체중 감량 및 꾸준한 관리를 하지 않으면 지방간염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간경변증으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지방간 치료에서 잘 못 알려진 사실
일반적으로 간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무조건 잘 먹고 잘 쉬어야 하는 것으로 잘 못 알려진 경우가 있습니다. 일단 비만에 의한 지방간인 환자가 잘 먹고 잘 쉬면서 체중이 더 증가하는 경우, 당뇨병 환자가 잘 먹음으로써 혈당 조절이 안 되는 경우 등 지방간을 악화시키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지방간이 있다고 해서 무조건적인 휴식과 영양섭취를 할 것이 아니라 규치적인 운동과 식이요법 조절을 하는 것이 치료에 도움 됩니다.
지방간의 예방방법
지방간 예방에 가장 우선시해야 할 것은 금주입니다. 음주의 횟수와 양, 기간이 많을수록 지방간이 발병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만약 지방간으로 확진을 받은 경우에는 최소 한 달의 금주기간을 가진 후 재검받아야 합니다. 그리고 균형 잡힌 식단으로 식사를 해야 합니다. 고지방 저단백 식단이 이어진다면 지방간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규칙적인 운동을 통한 적절한 체중 유지 역시 중요합니다. 금주를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간에 무리가 가지 않는 선에서 음주를 해야 합니다. 남자의 경우 주 21잔(210g) 여자의 경우 14잔(140g) 이하로 음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면증의 원인과 예방법 및 관련있는 질환 (0) | 2022.10.27 |
---|---|
편두통이 발생하는 원인과 치료방법 (0) | 2022.10.26 |
류머티즘 관절염의 증상과 주의사항 (0) | 2022.10.24 |
저혈압의 뜻은 무엇이며 어떤 유형들이 있을까? (0) | 2022.10.23 |
폐암이 발생하는 원인과 치료방법 (0) | 2022.10.22 |
댓글